Sie befinden Sich nicht im Netzwerk der Universität Paderborn. Der Zugriff auf elektronische Ressourcen ist gegebenenfalls nur via VPN oder Shibboleth (DFN-AAI) möglich. mehr Informationen...
Ergebnis 9 von 193

Details

Autor(en) / Beteiligte
Titel
남부지역 유채(Brassica napus L.) 논재배 봄파종 시 파종시기에 따른 생육 및 수량 특성 변화
Ist Teil von
  • 한국작물학회지, 2021, 66(1), , pp.80-86
Ort / Verlag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Erscheinungsjahr
2021
Link zum Volltext
Quelle
EZB Electronic Journals Library
Beschreibungen/Notizen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al sowing date for the spring sowing cultivation of rapeseed (Brassica napus L.). To determine suitable rapeseed sowing dates for spring sowing cultivation, changes in growth, flowering characteristics, and seed production were investigated in Muan, South Korea between 2019 and 2020. 'Jungmo7001' is the suitable variety for spring sowing because of its early flowering characteristics, high seed yield, and the fact that it occupies the highest cultivation area in South Korea. When the yield of 'Jungmo7001' was investigated in 2019 and 2020, the highest yields recorded were 243 kg/10a in February 28, 2019, and 294 kg/10a in February 18, 2020. As a result, the optimal rapeseed seeding period is considered to be mid-to-late February in the southern region.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ed crude oil content. The content of oleic acid (C18:1) decreased, but that of linoleic acid (C18:2) and of linolenic acid (C18:3) increas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sowing date. 본 연구는 남부지역(전라남도 무안군)에서 유채를 논에 봄파종하였을 경우 안정적으로 재배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유채 품종('탐미유채', '중모7001', '탐라유채')과 파종시기(2월 18일, 2월 28일, 3월 8일, 3월 18일)에 따른 개화특성과 생육 및 수량 특성을 조사하였다. ① 조생종인 '탐미유채'와 '중모7001'의 종실 수량은 268 kg/10a, 264 kg/10a로 가을파종 재배 수량 320 kg/10a에 비하여 83~84% 수준이었으나, 만생종인 '탐라유채'의 경우 184 kg/10a로 가을파종 대비 59%로 낮았다. ② 파종시기에 따른 종실 수확량은 2019년은 2월 28일 243kg/10a, 2020년 2월 18일의 경우 294 kg/10a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수확량이 많은 경향을 보였다. 특히 2월 말 이전에 파종한 경우에는 가을 재배 대비 종실 수확량이 85% 이상이었으나, 이후 파종시기가 늦어질수록 가을파종에 비하여 종실 수확량은 50% 이하로 크게 낮아졌다. ③ 파종시기에 따른 유채 종자의 품질 특성 변화를 확인해 보기 위하여 조지방 함량과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고 파종시기에 따른 조지방 함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파종시기가 늦어질수록 단일불포화지방산인 올레산 함량은 줄어들고, 다중불포화지방산인 리놀레산과, 레놀렌산 함량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④ 추후 봄 파종 안정 재배법 확립을 위한 추가적인 실험을 고안하여 연구함으로써 유채의 종실 수확량을 증가시킨다면 가을파종 재배를 대체하여 부가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Sprache
Koreanisch
Identifikatoren
ISSN: 0252-9777
eISSN: 2287-8432
Titel-ID: cdi_nrf_kci_oai_kci_go_kr_ARTI_9755426
Format
Schlagworte
농학

Weiterführende Literatur

Empfehlungen zum selben Thema automatisch vorgeschlagen von b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