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e befinden Sich nicht im Netzwerk der Universität Paderborn. Der Zugriff auf elektronische Ressourcen ist gegebenenfalls nur via VPN oder Shibboleth (DFN-AAI) möglich. mehr Informationen...
Ergebnis 7 von 39

Details

Autor(en) / Beteiligte
Titel
장염 동물 모델에서 Lactobacillus GG의 장염 예방 효과 및 Cytokine 분비와 Mucin gene 발현에 미치는 영향
Ist Teil von
  • 대한소화기학회지, 2004, 43(4), , pp.234-245
Ort / Verlag
대한소화기학회
Erscheinungsjahr
2004
Link zum Volltext
Quelle
EZB Electronic Journals Library
Beschreibungen/Notizen
  • 목적: 최근 Lactobacillus rhamnosus GG (LGG)가 급성설사에 효과가 있는 약제로 주목받고 있으나 만성 장염의 치료 및 재발 예방 효과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생쥐에서 dextran sulfate sodium (DSS) 유발 장염을 재발시킨 후 LGG의 장염 예방 효과를 관찰하고 cytokine 분비의 변화와 mucin gene 발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국내에서 생산된 생후 8주의 생쥐(n=64)에 5% DSS를 7일간 경구 투여하여 장염을 유발시켰다. 이후 10일간의 회복기에 생쥐를 두 군으로 나누어 LGG (n=25, 치료군)와 PBS (n=26, 비치료군)를 각각 경구 투여한 후 다시 DSS를 4일간 경구 투여하여 장염을 재발시킨 후 질환 활성도, 조직학 점수, 장 길이를 관찰하고 장 조직 내의 TNF-α IL-10, 그리고 mucin gene 발현 양상을 관찰하였다. 결과: 급성 장염기의 장 길이는 평균 6.34 cm로 정상 대조군 8.60 cm에 비해 짧았고(p=0.014), 장 조직의 TNF-α IL-10은 각각 46.09±148.38 pg/mL와 50.45±87.07 pg/mL였으며 IL-10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5). 조직학 점수는 근위부에 비해 원위부에서 더 높았다(8.6 vs 15.4, p=0.01). 회복기 질환 활성도는 치료군과 비치료군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장염 재발기에는 치료군에서 비치료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1.16 vs. 3.80, p<0.05). 또한 장 길이는 치료군에서 유의하게 길었다(5.62 cm vs. 4.60 cm, p<0.05). 장 조직 내 TNF-α 치료군과 비치료군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IL-10은 치료군에서는 정상대조군에 가까운 낮은 수치를 보인 반면 비치료군에서는 61.78 pg/m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2). 또한 치료군의 IL-10의 재발시 생성량은 급성 장염기의 생성량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p<0.05). 그러나 mucin gene의 발현에는 치료군과 비치료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LGG는 만성 장염의 재발을 줄이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효과의 기전은 cytokine 발현의 변화와 세균총의 변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mucin gene과의 관련성은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Aims: Lactobacillus rhamnosus GG (LGG) has been used in acute colitis treatment. However, it is unclear whether the LGG prevents chronic coliti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phylactic effect of LGG on animal colitis, cytokine secretion, and mucin gene expression. Methods: BALB/c mice (n=64) were exposed to 5% dextran sulfate sodium (DSS) for 7 days followed by 10 days recovery period and repeatedly exposed for 4 days. Then, the mice were devided into three group; group of oral LGG adminstration throughout the recovery and repeated colitis period; PBS group of PBS administration; control group. Colon length, histologic score,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interleukin-10 (IL-10) levels, mucin gene expressions were determined at each period. Results: In acute colitis period, the LGG group showed higher levels of disease activity index (DAI), histologic score, TNF-α IL-10, but shorter colon length, lower levels of mucin gene expressions than the control group. However, in repeated colitis period, the LGG group showed markedly lower levels of DAI and IL-10 but significantly longer colon length than PBS group (p<0.05).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ucin gene expression.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LGG prevents chronic murine colitis. It may be associated with cytokine modulation and competitive inhibition of pathogenic bacteria. However, it may not be related with gene expression. (Korean J Gastroenterol 2004;43:234-245)
Sprache
Koreanisch
Identifikatoren
ISSN: 1598-9992
eISSN: 2233-6869
Titel-ID: cdi_nrf_kci_oai_kci_go_kr_ARTI_443011

Weiterführende Literatur

Empfehlungen zum selben Thema automatisch vorgeschlagen von b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