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e befinden Sich nicht im Netzwerk der Universität Paderborn. Der Zugriff auf elektronische Ressourcen ist gegebenenfalls nur via VPN oder Shibboleth (DFN-AAI) möglich. mehr Informationen...
Ergebnis 9 von 9

Details

Autor(en) / Beteiligte
Titel
대청호 남조류 대발생기의 동물플랑크톤相 및 Microcystis aeruginosa와 물벼룩류 개체군 변동의 상관관계
Ist Teil von
  • 생태와 환경, 2005, 38(2), , pp.146-159
Ort / Verlag
한국수생태학회(구 한국하천호수학회)
Erscheinungsjahr
2005
Link zum Volltext
Quelle
EZB Electronic Journals Library
Beschreibungen/Notizen
  • 매년 여름철마다 남조류의 대발생이 반복되고 있는 대청호에서, 수화기간 동안 가장 우점적으로 나타난 남조류Microcystis aeruginosa의 밀도변화와 동물플랑크톤 중환경변화에 민감한 것으로 알려진 물벼룩류 개체군들의 변동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2001년 6월부터 10월까지 총 12회에 걸쳐 회남, 내탑, 본댐 앞 등 대청댐의 3개 지점을 조사정점으로 하여 시료를 채취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윤충류 21종, 물벼룩 15종, 요각류 14종을 비롯 하여 총 54종의 동물플랑크톤이 출현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대부분의 동물플랑크톤 종들은 빈영양성~β-중부수성의 수질지표를 보이는 종들이었다. 남조류 대발생기 동안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생물량은 전반적으로 높 은 수준을 유지하였고, 남조류 수화가 심한 조사정점에서 오히려 출현종수가 가장 많았다. 남조류 대발생기 동안물벼룩류 출현종들의 천이 양상은 매우 뚜렷하였다. 물벼룩류 출현종들의 개체군 변동은 수온 등의 이화학적 요 인의 변동보다는, 남조류 개체군의 밀도변화에 더 큰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조류의 대발생이 시작되면 Daphnia galeata와 같은 대형 물벼룩류의 개체군 크기가 급감하고 대신 Bosmina longirostris와 같은 소형 물벼룩류의 개체군 크기가 증가하였다. 이후 남조류밀도가 감소하면서 Diaphanosoma dubium 개체군의 크기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남조류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가장 민감하게 개체군 생장의 영향을 받는 종은 D. galeata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 종은 남조류에 의해 직접적인 저해를 받는 것으로 추정되며, D. galeata 개체군의크기 변화는 남조류 대발생기 동안 동물플랑크톤 군집전반의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Fifty-four zooplankton species from Daecheong Lake were identified during the research period from June to October 2001. The representative zooplanktons mostly comprised the index species indicating the intermediate stage from oligosaprobity to β-mesosaprobity. During the blooming season of blue-green algae, the population of large cladocerans like Daphnia galeata precipitously decreased in size, while rotifers and small cladocerans like Bosmina longirostris increased in population size. Therefore, soon after the peak of the blooming of blue-green algae, whole zooplankton standing crop and number of species showed the tendency of recovery, or even the sharp increase. The population size of Daphnia galeata was affected very sensitively by the change of cyanobacterial density. KCI Citation Count: 5
Sprache
Koreanisch
Identifikatoren
ISSN: 2288-1115
eISSN: 2288-1123
Titel-ID: cdi_nrf_kci_oai_kci_go_kr_ARTI_269890
Format
Schlagworte
환경공학

Weiterführende Literatur

Empfehlungen zum selben Thema automatisch vorgeschlagen von b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