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e befinden Sich nicht im Netzwerk der Universität Paderborn. Der Zugriff auf elektronische Ressourcen ist gegebenenfalls nur via VPN oder Shibboleth (DFN-AAI) möglich. mehr Informationen...
Ergebnis 13 von 126

Details

Autor(en) / Beteiligte
Titel
2002년 금강, 만경-동진강 하천수 중 잔류농약의 연간 검출 양상
Ist Teil von
  • 한국환경농학회지, 2017, 36(4), , pp.230-240
Ort / Verlag
한국환경농학회
Erscheinungsjahr
2017
Link zum Volltext
Quelle
EZB Electronic Journals Library
Beschreibungen/Notizen
  • BACKGROUND: To evaluate residues of environmentally concerned pesticides in water system, this monitoring was conducted over three rivers. The residual characteristics and discharging condition of these residues on water system was investigated. METHODS AND RESULTS: Total twenty nine sampling sites were selected through main streams and branch streams of Keum, Mangyung and Dongjin rivers, and the water samples from them were regularly collected one month interval, especially biweekly from May to August in 2002. Of the pesticides monitored, six fungicides which include hexaconazole, isoprothiolane and iprobenfos were detected with frequencies of 0.3-50.9% and in their residue level of $0.1-4.7{\mu}g/L$. Sixteen insecticides which include nine organophosphoruses, three carbamates, endosulfan, cypermethrin, buprofezin and fipronil were detected with frequencies of 0.3-32.5% and in their residue level of $0.01-2.8{\mu}g/L$. Nine herbicides which include alachlor molinate, anilofos, butachlor, dimepiperate, metolachlor, oxadiazon, pretilachlor and thiobencarb were detected with frequencies of 0.8-22.9% and in their residue level of $0.01-9.07{\mu}g/L$. CONCLUSION: Detection frequencies and residue levels of insecticides and herbicides were the highest in waters sampled in May and June. Almost pesticides detected were for the paddy rice and their residue levels were very low to compare with standard values. 환경오염 우려 농약의 수계 유출 영향평가를 위한 기본 자료로서 하천수 중 농약의 잔류실태와 유출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금강, 만경강 및 동진강의 하천수 중 농약의 잔류 변화를 일 년간 추적 조사하였다. 내분비계장애 추정농약 및 8,90년대에 실시한 국내 하천수 대상 농약 잔류조사에서 검출된 바 있는 성분 등 환경 잔류문제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농약성분 및 대사물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금강 만경강 및 동진강 본류 및 지천 개소를 대상으로 2-11월까지 월 평균 1회, 농약 사용 성수기인 5-8월 사이에는 월2회씩 채취하였다. 분석결과 살균제 성분으로는 carbendazim과 hexaconazole 등 6종이 검출되었으며, 검출빈도는 0.3-50.9% 범위이었고 검출농도는 $0.1-4.7{\mu}g/L$ 수준이었다. 특히 도열병 약제인 isoprothiolane과 iprobenfos의 검출양상은 장소와 시기 면에서 매우 광범위하였으나 잔류 수준은 그리 높지 않았다. 살충제 성분으로는 endosulfan 등 16종이 검출되었으며 검출빈도는 0.3-32.5% 범위이었고 검출농도는 $0.01-2.8{\mu}g/L$ 수준이었다. 그 중 endosulfan은 28개 지점에서 검출되어 매우 광범위한 오염양상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isoprothiolane과 iprobenfos, endosulfan의 경우는 사용 시기를 경과하여서도 지속적으로 검출되므로 수계환경으로의 유입경로와 유입 후의 행적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제초제 성분으로는 alachlor등 9종이 검출되었으며 검출빈도는 0.8-22.9% 범위이었고 검출농도는 $0.01-9.07{\mu}g/L$ 수준이었다. Molinat는 4개의 지천에서는 일시적으로 WHO의 권고지침 $7{\mu}g/L$을 상회하는 잔류농도를 나타내어 배출수로에서 부터 대하천에 이르기까지의 이동경로 단계별로 정밀한 농도변화 추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대부분의 검출 농약이 수도용이었으며 검출시기가 농약의 사용시기와 대체적으로 일치하는 경향이었고 잔류수준은 대체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Sprache
Koreanisch
Identifikatoren
ISSN: 1225-3537
eISSN: 2233-4173
DOI: 10.5338/KJEA.2017.36.4.38
Titel-ID: cdi_nrf_kci_oai_kci_go_kr_ARTI_2183413
Format
Schlagworte
농학

Weiterführende Literatur

Empfehlungen zum selben Thema automatisch vorgeschlagen von b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