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e befinden Sich nicht im Netzwerk der Universität Paderborn. Der Zugriff auf elektronische Ressourcen ist gegebenenfalls nur via VPN oder Shibboleth (DFN-AAI) möglich. mehr Informationen...
Ergebnis 4 von 38

Details

Autor(en) / Beteiligte
Titel
수용성 규산질 비료의 시용에 의한 벼 줄기 강도 강화와 수량에 대한 효과
Ist Teil vo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2012, 45(6), , pp.1017-1021
Ort / Verlag
한국토양비료학회
Erscheinungsjahr
2012
Link zum Volltext
Quelle
EZB Electronic Journals Library
Beschreibungen/Notizen
  •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effect of water soluble silicate fertilizer (WSS) application on rice plants with respect to comparing with powdery slag-originated silicate fertilizer (PSS) and granular one (GSS). The 30-day seedlings were transplanted on May 10, 2012. The plot size was $25m^2$, and the planting density was 15 hills $m^{-2}$. The standard application level was $2kg\;ha^{-1}$ for WSS, $200kg\;ha^{-1}$ for GSS, $200kg\;ha^{-1}$ for GSS. The application rates were 50 %, 100 %, and 200 % of the standard levels. The soil and plant samples were taken after harvest on September 10. Strength weight of the stem was measured on the center of the 5-cm of the fourth internode. Nutrient contents and yield of grains and were evaluated. The strength weight of the stem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ilicate content of the stem with the highly significant $R^2$ of 0.601. The strength of the stem was satisfactorily enforced by application of 50 % WSS and GSS, and 100 % PSS. Application of 50 % or 100 % of WSS showed little difference in rice yield in comparison with application of 100 % of PSS or GSS. Therefore, application of $20kg\;ha^{-1}$ of WSS would be recommendable for rice cultivation which enforced stem strength, and increased yield of rice. 수용성 규산질 비료가 벼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포장 시험을 수행하였다. 기존의 입상 또는 분상 광재 부산물 규산질 비료와 대비하여, 처리 수준에 따른 규산의 벼 흡수 정도를 알아보았다. 시험 장소는 강원도 춘천시 천전리에 있는 강원대학교 부속농장이었다. 2012년 5월 10일에 오대벼 30일 묘를 논 포장에 정식하였으며, 구의 면적은 $25m^2$, 재식 밀도는 15주 $m^{-2}$이었다. 처리한 규산질 비료의 양은 입상 $2,000kg\;ha^{-1}$, 분상 $60kg\;ha^{-1}$, 수용성 $20kg\;ha^{-1}$를 표준으로 50 %, 100 %, 200 %로 각각 시비하여 재배 후 수확하여 분석하였다. 벼의 줄기 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4 번째와 5 번째 마디의 절간 5-cm를 잘라 한쪽을 고정하고 중심에 추를 달아 줄기의 꺾임 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벼 줄기의 강도를 측정해본 결과 무처리에 비해 규산질 비료가 시비된 토양에서 생장한 벼에서 강도가 월등히 높이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벼 줄기 꺾임은 무처리와 비교하여 규산질 비료를 시비한 모든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수용성 규산질 비료를 시비한 처리구의 벼에서 꺾임 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수용성 규산질 비료가 토양 내 수분과 반응하여 빠르게 흡수되어 벼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수량 조사에서 알 수 있었는데, 처리량에 비해 127 의 수량 상승률을 보인 입상 광재 규산질 비료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양을 시비한 수용성 규산질 비료에서 125 의 수량 상승률을 보여 동등한 효과를 보인 것으로 판단된다.
Sprache
Koreanisch
Identifikatoren
ISSN: 0367-6315
eISSN: 2288-2162
DOI: 10.7745/KJSSF.2012.45.6.1017
Titel-ID: cdi_nrf_kci_oai_kci_go_kr_ARTI_181281
Format
Schlagworte
농학

Weiterführende Literatur

Empfehlungen zum selben Thema automatisch vorgeschlagen von b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