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e befinden Sich nicht im Netzwerk der Universität Paderborn. Der Zugriff auf elektronische Ressourcen ist gegebenenfalls nur via VPN oder Shibboleth (DFN-AAI) möglich. mehr Informationen...
Objectives : We carried out tests for neurobehavior by using WHO-NCTB (neurobehavioral core test battery) and Perdue pegboard score test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lacunar infarction cases and controls. Methods : Among the subjects who underwent MRI between February 2001 and March 2002 in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Seoul and who were diagnosed only as lacunar infarction without any intracranial disease, 46 patients were selected as cases (male: 21, female: 25). Controls were selected who had no cerebrovascular disease on MRI by matching age (5 years), gender, and education (2 years) in a ratio of 1:1 , Among WHO-NCTB, the following 5 tests and Perdue pegboard score test were used to categorize the study subjects: digit and symbol matching, simple reaction time, Benton visual retention, digit span, and Pursuit aiming test, Results : Among the above 6 tests of neurobehavior, lacunar infarction cases showed lower score than controls except for the simple reaction time test. As the controlling variables of multivariate analysis in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e followings were selected due to their significant association: age, education, BMI, gender, drinking, exercise, add systolic blood pressure. From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p<0.05) between lacunar infarction cases and controls in digit and symbol matching, Benton visual retention, digit span, pursuit aiming, and Perdue pegboard score test, but not in the score of simple reaction time test. Conclusions : We suggest that the above 5 tests for neurobehavior, with the exception of the simple reaction time test, might be used as the basis for recommendation of further treatment and other neurological tests by the earlier defection for neurological abnormality in lacunar infarction. 전체 뇌졸중의 $15{\sim}20%$를 차지하고 있는 열공성 뇌경색(lacunar infarction)은 최근 뇌경색형 뇌졸중의 증가와 더불어 그 중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데, 1년 이내 뇌경색이 재발되거나 노인, 고혈압 및 초기 신경학적 이상과 같은 감수성 인자가 있는 경우 뇌경색 재발과 혈관성 치매 발생 위험이 있어 삼차예방적 측면에서의 적절한 처치가 필요한 질병이다. 그렇지만 열공성 뇌경색은 증상이 없거나 경미한 경우가 상당히 많아 환자 자신이 치료의 중요성을 느끼지 못할 뿐 아니라 의사들도 환자의 경미한 신경학적 이상을 인지하지 못하여 처치의 당위성에 대해 설득력있는 근거를 제시할 수 없어 적절한 처치가 미비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신경학적 자각 증상은 없지만 MRI상 열공성 뇌경색으로만 진단된 환자군이 MRI상 이상소견이 관찰되지 않는 대조군에 비하여 신경행동 검사상 차이가 관찰될 것이라는 가설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뇌졸중의 증상 및 증후 없이 두개골 외상 혹은 두통, 경부강직 등과 같은 신경학적 이상으로 MRI를 촬영한 대상자 중에서 다른 이상 없이 열공성 뇌경색으로만 진단될 환자군과 특별한 이상 소견이 없는 것으로 진단된 대조군에서 WHO의 NCTB(neurobehavioral core test battery)검사의 일부와 Perdue pegboard score검사를 시행하였고, 그 결과 대조군에 비해 환자군의 신경행동 이상이 평균 및 가장 빠른 단순반응시간 검사를 제외한 5개 검사에서 관찰되었다. 본 검사의 결과는 자각 증상이 없거나 경미한 증상을 호소하는 열공성 뇌경색 환자들의 차후 필요한 검사의 선별과 삼차 예방적 측면에서 처치의 근거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자각 증상이 없거나 경미한 증상이 있지만 진찰상 신경학적 이상 증후를 거의 찾을 수 없는 대상자에서 MRI검사 필요성의 근거를 확인하고자 하는 대상자에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Sprache
Koreanisch
Identifikatoren
ISSN: 0254-5985
Titel-ID: cdi_kisti_ndsl_JAKO200324717650299
Format
–
Weiterführende Literatur
Empfehlungen zum selben Thema automatisch vorgeschlagen von bX